Nextculture 코드 컨벤션
CRUD 이름에 대한 고찰
조회를 담당하는 메서드를 제작한다고 했을 때만 하더라도 사람마다 사용하는 메서드 이름이 다르다.
ex 계정 조회 메서드 이름)
accountDetail, detailAccount, accountInfo, accountGet, getAccount, readAccount, accountRead, viewAccount 등등…
그렇기 때문에 유지보수 및 협업이 편해지도록 회사 내부 규칙을 만드려고 한다.1. 명사 or 동사
메서드에 사용되는 CRUD 를 뜻하는 단어는 동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2. Prefix or Suffix
메서드의 이름은 CRUD 단어를 Prefix 로 작성한다.
필드 이름 또는 권한 등의 기타 정보는 Suffix 로 작성한다.3. 우선 순위(여기부터 많은 논란이 많기에 길고 긴 논의 과정이 필요했다.)
지금 작성하고 있는 이 문서 내용과 제작하고 있는 서비스는 REST API 서비스다.
그렇기 때문에 HttpMethod > CRUD > 기능의 우선순위로 단어를 선택한다.4. 직관적인 단어 선택
단어마다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DELETE 에 포함되고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는
DELETE, DESTROY, REMOVE 가 있다.
여기서 DESTROY 는 파괴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말 기능 자체를 삭제하는게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REMOVE 는 어떤 항목을 제거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논리 삭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DELETE 는 어떤 데이터를 삭제한다는 의미기때문에 물리 삭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런 식으로 단어마다 의미에 따라 기능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 및 정의되었다.
그래서 의미가 기능과 더욱 부합하는 단어와 맵핑하기 위해 상세하게 규칙을 정했다.5. CRUD 각각에 따른 고찰
1. 등록 및 작성
등록 및 작성은 HttpMethod.POST 로는 의미가 다르다고 판단되었다.(POST = 우편, 우편물, 발송하다)
INSERT 는 Database 영역 안에 단어라고 판단되었다.
SAVE 는 Repository 영역 안에 단어라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CREATE 의 의미가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미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취합해서 맵핑하는 경우에는 등록이라는 의미보다는 추가의 의미다.
그렇기때문에 이런 경우 CREATE 보다는 ADD 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결론
기능 PREFIX 등록 및 작성 CREATE 추가 ADD 2. 수정
MODIFY 라는 단어는 설계를 수리 및 변경하는 의미라서 수정보다는 더 큰 개념이라고 판단되어 부적합 판단.
CHANGE 라는 단어는 변경이라는 의미라서 수정이라는 의미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하나 또는 일부분만 변경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RENEW, RECORD 보다는
접근성 부분에서 CHANGE 가 제일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PUT 은 놓다, 밀어 넣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수정이라는 의미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UPDATE 는 갱신하다, 최신 정보를 알려주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처리되는 로직을 생각했을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결론
기능 PREFIX 수정 UPDATE 일부분 수정 CHANGE 3. 삭제
DESTROY 는 파괴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말 기능 자체를 삭제하는게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REMOVE 는 어떤 항목을 제거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논리 삭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DELETE 는 어떤 데이터를 삭제한다는 의미기때문에 물리 삭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결론
기능 PREFIX 논리 삭제 REMOVE 물리 삭제 DELETE 4. 조회
정말 많은 논의가 필요했던 항목이다.
사람마다 정말 다르게 사용하고 있었기도 했으며
목록, 상세, 일부 조회, 구조 조회 등등 많은 유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차근차근 하나씩 짚어보면서 규칙을 정해야했다.
첫 번째로 일단 PREFIX 를 정해보았다.
SELECT 는 Database 영역 안에 단어라고 판단되었다.
LIST, DETAIL 은 명사기때문에 기각되었다.
VIEW 는 View Class 영역과 가깝다고 판단되었다.
INQUIRE 는 조회보다는 문의에 가깝다고 판단되었다.
CHECK 는 조회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지만
어떤 항목에 대해서 중복 체크나 삭제 여부 등 처럼
검사를 진행하는 항목에서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READ 는 GET 보다 우선순위가 낮아서 밀렸다.
그래서 GET 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제 SUFFIX 대해서 정의가 필요했다.
일단 SUFFIX 는 명사와 접속사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GET 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유형이 존재했다.
목록 조회, 상세 조회, 간단한 조회, 구조 조회
그래서 사용 빈도수가 높은 항목을 기준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상세 조회는 따로 SUFFIX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PREFIX + Entity 이름으로 결정했다.
ex) 계정 상세 조회 = getAccount
목록 조회는 LIST 라는 단어를 SUFFIX 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ex) 계정 목록 조회 = getAccountList
단일 항목에 대한 조회는 항목 이름을 SUFFIX 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
ex) 계정 아이디 조회 = getAccountUsername
다른 연관 관계 없이 최소한의 데이터를 호출할 때는 SIMPLE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
ex) 계정 간단 조회 = getAccountSimple
이 외의 조회는 경우의 수가 너무 많고 프로젝트마다 가변적이기때문에
작업자가 상황에 따른 단어를 선택하기로 결정했다.결론
기능 PREFIX EXAMPLE 목록 조회 GET getAccountList 상세 조회 GET getAccount 간단한 조회 GET getAccountSimple 검사 CHECK
Class Name
1. DTO 이름
DTO 이름은 [Entity 이름] + [CRUD 이름] + [유형]
ex 1) AccountCreateRequest = Account(계정 관리) + Create(등록) + Request(유형)
ex 2) AccountListResponse = Account(계정 관리) + List(목록) + Response(유형)
Method Name
Method 이름은 [CRUD 이름] + [Entity 이름] + [상황에 따라 필드 이름 또는 권한 등 기타 정보]
ex 1) createAccount = Create(등록) + Account(계정 관리)
ex 2) updateAccount = Update(수정) + Account(계정 관리)
ex 3) updateAccountPassword = Update(수정) + Account(계정 관리) + Password(비밀 번호)
ex 4) updateAccountPasswordForManager = Update(수정) + Account(계정 관리) + Password(비밀 번호) + ForManager(관리자로부터)
Controller
URI
Controller 에서 URI 를 상단에 명시할 때 공통 URI 만 명시해서 사용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test") public class TestContoller { 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 private final String uriBoard = "/board"; private final String uriNotice = uriBoard + "/notice"; @GetMapping(uriNotice) public ResponseEntity<?> getNoticeList(/*...*/) { // ... } @GetMapping(uriNotice + "/{id}") public ResponseEntity<?> getNotice(/*...*/) { // ... } }
Service
Repository
1. 조건(Where) 에 관한 고찰
QueryDSL 에서 Where 문을 구성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각 조건마다 모듈화 시킨다.
- 조건을 한 메서드로 그룹핑한다.
TODO:
이후에 위의 두 가지 방식을 모두 경험하고
한 가지로 통일해야 한다.
2. 페이징 처리에 관한 고찰
페이징을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QueryDSL 에서 제공하는 offset & limit 방식
- JPA 에서 제공하는 Page Class 를 활용하는 방식
TODO:
이후에 위의 두 가지 방식을 모두 경험하고
한 가지로 통일해야 한다.
Entity
DTO
1. 요청 구조와 반환 구조가 같게 제작
"Request" : { "subject": "Subject", "content": "Content", "attachList": [ { "attach": {"id": 1} }, { "attach": {"id": 2} }, { "attach": {"id": 3} } ] } "Response" : { "id": 1, "subject": "Subject", "content": "Content", "attachList": [ { "attach": { "id": 1, "filename": "FileName1", "createDt": "2020-03-18 00:00:00" } }, { "attach": { "id": 2, "filename": "FileName2", "createDt": "2020-03-18 00:00:00" } }, { "attach": { "id": 3, "filename": "FileName3", "createDt": "2020-03-18 00:00:00" } } ] }
2. Response DTO 로직에 대한 정의
Data 가공 또는 성능 최적화가 필요하지 않는 이상
DTO 에서는 Data 가공 로직을 담당하지 않고
최대한 ModelMapper 기능을 활용한다.
단, Data 가공(Entity 에 없는 데이터를 요청할때) 또는 성능 최적화를 고려해야하는 상황일때는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여 QueryDSL 의 Projections.constructor 기능을 활용하거나
DTO 생성자 내부에서 Data 를 가공하는 것으로 한다.TODO:
이후에 위의 두 가지 방식을 모두 경험하고
한 가지로 통일해야 한다.